종부세 과세대상과 납부기한, 세율과 계산방법, 종부세 기준 요약 안내

종부세 (종합부동산세)는 일명 부동산 자산이 높은

부자들이 내는 세금이라고 하여 부자세라고 합니다.

 

 

 

종부세 기준

종부세 과세기준일 : 매년 6월1일

 

 

 

종부세 납부기한

매년 12월1일~12월15일

납부할 세액이 250만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분할납부 신청이 가능합니다.

 

종부세 분할납부 신청방법은 아래의 포스팅 링크를 참조하여 주십시오.

2022.12.04 - [부동산] - 홈택스 종부세 분납신청 방법 간단 설명

 

 

 

종부세 과세대상

주택                  (주택부속토지포함)

종합합산토지   (나대지, 잡종지 등)

별도합산토지   (상가, 사무실 부속토지 등)

 

 

 

 

 

종부세 계산방법

1) (공시가격 합산-공제금액) x 공정시장가액비율 = 과세표준

2) 과세표준 x 세율(%) = 종합부동산 세액

3) 종합부동산 세액 - 공제할 재산세액 - 세부담상한초과세액 = 납부할 종부세

 

    종부세 계산하는 방법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공시가격합산- 공제금액 x 공정시장가액비율 x 세율(%) - 각종 공제세액


 

종부세 기본 공제금액

주택 :               6억원 (1주택자 11억원) , (법인 기본공제 없음)

종합합산토지 : 5억원

별도합산토지 : 80억원

 

위 종부세 기본 공제금액은 개정전 내용이며 2022년 12월23일

국회 본회의 통과한 개정안에 따르면 아래와 같이 상향 됩니다.

 

2023년 주택분 종부세 기본공제금액 개정안

다주택자 : 6억원 -> 9억원

1 주택자 : 11억원 -> 12억원

법      인 : 기본공제 없음 -> 동일 

 

 

 

종부세 세율 및 개정안

 

종부세 세율

 

적용시기 : 2023.1.1 이후 납세의무가 성립 분부터 적용.

법인소유 주택분 기본공제금액이 원상복구 안되어 아쉽네요.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