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중개 수수료율표를 확인하고 중개수수료 계산기 사용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한국공인중개사협회 홈페이지에 가시면 위와 같이 중개수수료율표를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중개수수료율표를 확인하시면 2021.10.19 일자로 중개수수료가 개편이 되었습니다.
절대적인 주택가격상승으로 인하여 중개수수료부담이 증대되어 중개수수료율이 인하 되었습니다.
중개수수료율표를 확인하면서 부동산 중개수수료 계산기를 활용하여 적용해보겠습니다.
예를들어 경기도의 아파트를 3억원에 매매한다고 가정했을 때 중개수수료는 거래금액 3억에 요율 1천분의4(0.4%) 적용 하시면 됩니다.
3억원 * 0.4% = 120만원
위 금액을 포털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부동산 중개수수료 계산기에 적용하여 산출 해보겠습니다.
순서대로 항목에 선택 또는 입력하시면 됩니다.
매물항목은 주거용 선택,
거래지역 경기도,
거래유형 매매,
거래금액 300,000,000원
그리고 계산하기 클릭하면 위와같이 붉은 박스표시 금액 1,200,000원이 산출됩니다.
간단하게 임대차 한가지만 더 예로써 적용하여 보겠습니다.
서울의 빌라를 보증금 1억 / 월세 50만원 조건으로 임대차계약의 중개수수료를 계산하여 보겠습니다.
우선 월세라는 요건이 있으므로 거래금액을 산정하여야 합니다.
산정방법은 보증금 + (월세*100) 입니다.
사례를 적용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1억 + (50만원 * 100) = 1억5천만원
(단, 산정금액이 5천만원 미만시에는 보증금 + (월세 * 70) 으로 산정)
산정 거래금액을 산정하였으니 중개수수료 요율을 적용하겠습니다.
1억5천만원 * (0.3%) = 45만원
위 사례를 부동산 중개수수료 계산기에 적용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항목별로 매물은 주거용 / 거래지역 서울 / 거래유형 월세 / 보증금 1억원 / 월세 50만원 조건을 순차적으로 입력하여 계산하기를 클릭하면 붉은 박스와 같이 중개수수료 45만원이 산출 됩니다.
중개수수료를 산출하는 요율은 중개수수료율표에서 상한요율이라는 표현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이 의미는 중개수수료의 상한금액을 제한한 것이지 반드시 해당 요율적용한 수수료를 지불해야하는건 아닙니다.
상황에 따라 협의하여 중개수수료를 조정 하실 수 있습니다.